[의료&덴탈]디지털 임플란트 시장의 3D프린팅 활용: “임플란트와 틀니의 장점을 결합한 최종 완성형 틀니 All-on-4, 캐리마 3D프린터로 제작 및 美시장 수출 활발”

CARIMA9198
2024-03-06

디지털 임플란트 시장의 3D프린팅 활용:

“임플란트와 틀니의 장점을 결합한 최종 완성형 틀니 All-on-4,

  캐리마 3D프린터로 제작 및 美시장 수출 활발”


요약:

• DDF(Digital Dental Fusion)는 맞춤형 디지털 치과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조기업이다.

•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가장 최적화된 캐리마의 초정밀, 초고속 DLP 3D프린터와 고사양의 후경화기를 활용하여, 환자 맞춤형 디지털 풀아치 All-on-4 제작을 실현했다.

• 기존 틀니와 차별화된 “All-on-4”의 제작 성공으로 미국 덴탈 시장 내 환자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결과 미국 치과 시장으로 꾸준한 수출을 진행 중이다.

• 사업 확장을 위해 남미 시장으로의 진출을 앞두고 있다. 

 

[DDF 한국사무소의 장재원 이사와 캐리마 IM시리즈 제품]


DDF(Digital Dental Fusion)는 미국의 맞춤형 디지털 치과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조기업이다. 2003년 국내에 설립된 TDS(The Dental Solution, Inc.)의 자회사로 Daniel Cho, ND에 의해 2017년 미국에 설립되었다. 전 세계 환자들에게 기술 혁신의 역사를 이어가고 포괄적인 치료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3D프린팅은 DDF의 디지털 임플란트 시대의 전환기 부터 중요 역할을 했으며, 성공적인 All-on-4(올온포) 제작을 위해 3D프린팅된 보철물과 실제 환자의 상, 하악과의 간의 공차를 맞추기 위해 여러 외산 DLP 3D프린터 브랜드(E사, A사 등)를 활용하던 중 국산 DLP 3D프린터 제조기업인 캐리마와 co-working하여 덴탈 전용 IMD 3D 프린터와 후경화기 CL300Pro를 활용,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통과하여 양산에 적용,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캐리마의 3D 프린터와 후경화기를 통해 제작된 최종 보철물은 요구 정밀도를 만족하고 외산 제품 대비 월등한 생산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DDF 한국사무소의 장재원 이사는 “TFS(Tension Free System)이 적용된 IMD는 고물성의 재료를 타사 제품 대비 월등한 생산속도와 우수한 정밀도로 출력이 가능했고, 자유로운 파라미터 조절을 통한 가장 이상적인 조형조건의 셋업이 가능했고 출력 성공률이 거의 100%에 가까워 “All-on-4”의 성공적인 제작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며, 또한 “경화기 CL300Pro는 300W급의 고사양으로 어느 제품보다도 강하기 때문에 경화 시간 단축이 가능해, 생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캐리마 3D프린터 IMD와 후경화기 CL300Pro]

 

DDF가 시장에 공급 중인 “All-on-4”는 환자의 구강 내에 4개의 임플란트에 고정시키는 영구적인 틀니이며, 특히 DDF만의 고유기술 적용으로 타사 대비 높은 내구성과 우수한 심미성이 특징이다.

 

[DDF의 All-on-4]


올온포(All-on-4)는 일반 틀니처럼 중간에 유지보수를 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임플란트와 완전히 고정되어 자기 치아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으며,색상도 거의 자연 치아와 유사해 심미적이다. 환자의 만족도와 심적 안정감 제공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All-on-4(왼쪽)와 일반 틀니(오른쪽) 비교]

 


일반 틀니의 경우, 완전히 고정 되지 않기 때문에 저작력이 약하고 쉽게 빠질 수 있다. 그리고, 잇몸으로만 지지하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게 되면 잇몸에 통증이나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잇몸 뼈가 흡수되어 틀니가 더욱 헐거워져 저작하기에도 불편하다는 점이 오랜 기간 숙제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DDF는 디지털 임플란트와 틀니를 결합해 이러한 단점을 완전히 극복했기에 오늘날 미국 덴탈 시장 내에서 환자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꾸준한 수출을 진행할 수 있었고, 향후 남미 시장으로의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덴티스트리에서의 3D프린팅 활용은 환자 맞춤형 기반으로 치과 질환, 심미 치료에 대해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내용 및 사진제공: DDF(Digital Dental Fusion) l 글 작성: 캐리마